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보기96

티스토리(Tistory) 사이드바 달력 모듈 추가 티스토리(Tistory) 스킨 중에는 달력 위젯이 제공이 되어있지 않은 스킨들도 있다. 수동으로 달력 모듈을 추가해보자! 1. 스킨 편집 클릭 2. html 편집 클릭 3. HTML에 있는 사이 원하는 위치에 다음 코드를 넣어준다. 그럼 사이드바에 달력 모듈이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다. 이제 달력을 출력하고 싶은 위치에 가져다 놓고 저장하면! 기본 달력이 원하는 위치에 잘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음에는 기본 달력을 꾸며볼 것이다. 2022. 8. 11.
티스토리(Tistory) 카테고리별 글 수 표시하는 방법 기존 카테고리 옆에 글이 몇 개 포스팅 되어있는지 알고싶다. 카테고리 글 개수를 표시해보자! 먼저 카테고리 관리에 들어가준다. 지금은 카테고리별 글 수를 표시하지 않음으로 선택되어있다. 카테고리별 글 수를 표시합니다로 바꾼 후 변경사항 저장을 누른다. 저장 완료가 되었다. 그럼 잘 적용이 됐는지 확인해볼까~! 잘 적용이 됐다. 2022. 8. 11.
행위 패턴(Behavioral Pattern) 객체나 클래스 사이의 알고리즘이나 책임 분배에 관련된 패턴이다. 가령 한 객체가 혼자 수행할 수 없는 작업을 여러 개의 객체로 어떻게 분배하는지, 또 그렇게 하면서도 객체사이의 결합도를 최소화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11) 어떤 처리의 책임을 어느 객체에 할당하는 것이 좋은지, 알고리즘은 어느 객체에 정의하는 것이 좋은지 다룬다. 객체나 클래스 사이의 알고리즘이나 책임 분배에 관련된 패턴으로 한 객체가 혼자 수행할 수 없는 작업을 여러개의 객체로 어떻게 분배하는지, 그러면서 객체 사이의 결합도를 최소화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클래스와 객체들이 상호작용하는 방법과 역할을 분담하는 방법을 다루는 패턴 종류 옵저버 패턴 객체들 사이에 1 : N 의 의존관계를 정의하여 어떤 객체의 상태가 변할 때, 의존관계에.. 2022. 8. 11.
구조 패턴(Structural Pattern) 클래스나 객체를 조합해 더 큰 구조를 만드는 패턴 ex)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지닌 2개의 객체를 묶어 단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객체들을 서로 묶어 새로운 기능을 제공하는 패턴 종류 적응자 패턴 클래스의 인터페이스를 사용자가 기대하는 다른 인터페이스로 변환하는 패턴으로, 호환성이 없는 인터페이스 때문에 함께 동작할 수 없는 클래스들이 함께 작동하도록 해주는 패턴 브리지 패턴 구현부에 추상층을 분리하여 각자 독립적으로 변형할 수 있도록 하는 패턴 컴포지트 패턴 객체들의 관계를 트리 구조로 구성하여 부분-전체 계층을 표현하는 패턴으로, 사용자가 단일 / 복합객체 모두 동일하게 다루도록 하는 패턴 여러 개의 객체들로 구성된 복합 객체와 단일 객체를 클라이언트에서 구별 없이 다루게 해주는 패턴 https:.. 2022. 8. 11.
생성 패턴(Creational Pattern) 객체 생성에 관련된 패턴 객체의 생성과 조합을 캡슐화해 특정 객체가 생성 되거나 변경되어도 프로그램 구조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도록 유연성을 제공 종류 싱글턴 패턴 클래서의 인스턴스가 하나임을 보장하고 접근할 수 있는 전역적인 접근점을 제공하는 패턴으로, 디자인 패턴의 가장 많이 알려진 패턴 전역 변수를 사용하지 않고 객체를 하나만 생성하도록 하며, 생성된 객체를 어디에서든지 참조할 수 있도록 하는 패턴 https://gmlwjd9405.github.io/2018/07/06/singleton-pattern.html 추상 팩토리 패턴 구체적인 클래스를 지정하지 않고 관련성이 있거나, 독립적인 객체들을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패턴 https://gmlwjd9405.github.io/2018/08.. 2022. 8. 11.
GoF (Gang of Four) 디자인 패턴 GoF (Gang of Four)는 Design Patterns: Elements of Reusable Object-Oriented Software를 집필한 저자 에릭 감마(Erich Gamma), 리차드 헬름(Richard Helm), 랄프 존슨(Ralph Johnson), 존 블리시데스(John Vlissides)가 소프트웨어 개발 영역에서 디자인 패턴을 구체화하고 체계화한 GoF라 불리는 사람들의 이름이다. GoF 디자인 패턴은 생성 패턴(Creational Pattern), 구조 패턴(Structural Pattern), 행위 패턴(Behavioral Pattern) 총 3가지로 분류 된다. 2022. 8. 11.
디자인 패턴 (Design Pattern) 🤔 디자인 패턴이란? 효율적인 코드를 만들기 위한 방법론 라이브러리나 프레임워크가 도와주지 못하는 부분을 도와주는 것 상황에 맞는 올바른 설계를 더 빠르게 적용할 수 있다. 각 패턴의 장단점을 통해서 설계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설계 패턴에 이름을 붙임으로써 시스템의 문서화, 이해, 유지 보수에 도움을 얻을 수 있다. 😊 디자인 패턴 사용 목적 및 이유 1. 우리 주변에서 자주 반복해서 발생하는 문제와 그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을 기술하여 동일한 일을 두 번 다시 하지 않고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2. 구체적인 설명없이 구조화된 패턴에 대한 사전 지식으로 개발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할해질 수 있다. 3. 이미 검증된 구조를 사용하므로 설계 과정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 🙂 디자인 패턴의 장.. 2022. 8. 11.
IntelliJ에서 Build하는 방법 오늘은 IntelliJ에서 Build 하는 방법을 살펴보자~! Golang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먼저 프로젝트를 만들어 준 다음에 간단한 실행 코드를 써줬다. 이 프로그램을 Terminal로 실행을 하면 이렇게 출력이 된다. 근데 나중에 코드가 더 길어졌을 때 디버깅도 하고 싶고 버튼만 눌러서 프로젝트를 실행시키고 싶을 수도 있다. 비활성화되어있는 버튼들을 활성시켜서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보자! Add Configuration...을 누르면 이런 창이 뜬다. 여기서 +나 Add new...를 누르고 Go Build를 선택해준다. Go Build가 열리면 Run kind를 Directory로 설정해준다. 빨간 네모칸 세 곳을 다 똑같이 설정해준다! 경로는 실행할 파일 경로! main.go가 있는 경로.. 2022. 8. 9.
728x90